2011년 10월 24일 월요일

풍압/풍동해석

1)풍압해석
바람에 의한 구조물의 영향을 해석하는 방식이다.
 <적용 사례>



2)풍동실험
풍동실험에 의해 풍외력을 파악하고 이러한 풍외력에 의해 응답을 평가해서 골조를 설계 하는 가장 실용적인 내풍 설계 수법이다.

-풍압측정 실험 : 모형에 작용하는 풍압력을 풍압계를 통해 측정하는 실험이다. 이 실험은 외장재용 풍하중의 평가를 목적으로 하는 경우가 많다.
-풍력측정 실험 : 풍력실험은 건축물 전체 혹은 그 일부에 작용하는 풍하중의 평가를 위해서 실시된다. 예를 들면 고층 건축물의 구조골조용 설계 풍하중을 설정할 때에 이용된다. 그리고 풍력 스펙트럼을 도출하여 풍하중에 의한 건축물의 진동 가속도, 진동 변위 등의 동적 거동을 예측하여 거주자의 사용성을 평가한다.
3)공진
진동계가 그 고유진동수와 같은 진동수를 가진 외력(外力)을 주기적으로 받아 진폭이 뚜렷하게 증가하는 현상을 가리킨다. 이를 이용하면 세기가 약한 파동을 큰 세기로 증폭시킬 수 있다.
4)공명현상
소리를 포함해 보통의 역학적 진동, 전기적 진동 등 모든 진동에서 일어나는 현상인데, 이중에서 전기적·기계적 공명일 때는 공진(共振)이라고도 한다. 일반적으로 외부에서 진동계를 진동시킬 수 있는 힘을 가했을 때 그 고유진동수와 외부에서 가해주는 힘의 진동수가 같으면 그 진동은 심해지고 진폭도 커진다. 또 진동체가 서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양쪽 진동수가 같으면 공명에 의해 에너지를 서로 교환하기 쉽게 된다.
5)플러터해석
공기 흐름에서 에너지를 받아 일어나는 진동으로, 비행기의 속도가 빨라졌을 때 주날개와 꼬리날개가 공기 힘에 의하여 심한 진동을 일으키는 현상을 말한다. 비행속도가 느릴 때는 날개에 생기는 미소한 교란으로 인하여 날개의 탄성진동이 발생하여도 날개의 진동에 따라 일어나는 공기 힘에 의하여 감쇠된다.그러나 비행속도가 빨라지면 날개의 진동에 따라 일어나는 공기 힘이 날개에 진동을 일으켜 심한 진동이 생긴다. 일단 플러터가 발생하면 진동이 급속히 퍼져 비행기는 공중분해되므로 비행기를 운행할 때는 이러한 플러터가 발생하지 않도록 그 속도를 제한한다.
6)내풍구조
예측풍압력(豫測風壓力)에 대해서 안전하고, 동시에 바람에 의한 진동이 거주환경으로서 지장이 없게 설계된 구조로, 병풍 모양의 초고층 빌딩과 가볍고 휘기 쉬운 현수구조(懸垂構造), 공기막구조(空氣模構造) 등의 구조설계에서 중요하다.
 
    
 A. 내풍해석 및 설계 흐름도



고풍속에서의 내풍안정성 해석 및 설계기술 개발
-장대교량 공탄성해석기술 개발
-가설 중 내풍안정화 설계기술 개발
-풍동실험과 내풍해석을 연계한 설계기술 개발
-실교량 풍 계측자료 활용기술 개발
-전산유동장해석 활용기술개발



<구조물의 바람에 의한 영향 해석>
   B. 시뮬레이션


  
C. 비행기의 풍동 해석



 


              <CFD of F-16 (N-S, Euler), Commercial Solution>



주소 : 서울시 서초구 양재동 17-1 은경빌딩 2층 디넷뜨(주) 알앤디파트너
전화 : 02-2057-2564, 4686, FAX : 2057-4687 | E-MAIL : order@dinett.com
홈페이지: http://rndpartner.com
Copyright ⓒ 1999-2011 by Dinett.com, All rights reserved.

댓글 없음:

댓글 쓰기